상실과 이별의 아픔을 딛고 성장하는 소녀의 이야기 <마이걸>
197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의 한적한 마을. 11살 소녀 베이다 설텐퍼스는 다른 또래 아이들과는 조금 다른 환경에서 자라고 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 해리 설텐퍼스는 장의사로 일하며, 가족이 운영하는 장례식장에서 살고 있습니다. 어머니는 베이다가 태어난 직후 세상을 떠났고, 그 상처 때문인지 그녀는 이별에 대해 남들보다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베이다는 늘 건강 염려증을 갖고 있으며, 조그마한 증상에도 "내가 병에 걸린 것 같다"라고 걱정하곤 합니다. 하지만 사실 그녀는 이별이라는 의미를 추상적이게 알 뿐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나이였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이별에 대한 두려움을 엉뚱하게 표현하는 개성 강한 소녀입니다. 베이다에게는 가장 친한 친구인 토마스 제이가 있습니다. 토마스 제이는 베이다와 동갑이며, 심한 알레르기 체질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 가지에 쉽게 반응을 보입니다. 이 때문에 몸이 약하고 겁이 많지만, 당당하고 활발한 베이다와 함께 있을 때는 용기를 내며 그녀를 항상 따라다닙니다. 한편, 베이다의 아버지는 성격이 다소 무뚝뚝하고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그런 아버지는 셸리 디반토라는 화장 전문가를 장례식장 직원으로 새로 고용합니다. 셸리는 발랄하고 따뜻한 성격의 소유자로, 장례식장의 분위기를 조금씩 바꿔 나갑니다. 베이다와 토마스 제이는 함께 자전거를 타고, 나무 위에 올라가 이야기를 나누며 여름을 보냅니다. 둘은 서로의 비밀을 공유하는 단짝 친구이며, 베이다는 장난을 치면서도 토마스를 아낍니다. 베이다는 학교 선생님인 미스터 빅스를 짝사랑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그의 여름 글쓰기 강좌에 등록하고, 선생님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선생님에게는 이미 여자친구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실망한 베이다는 깊은 상심에 빠집니다. 한편, 아버지 해리와 셸리는 점점 가까워지고, 결국 두 사람이 연애를 시작하자 베이다는 큰 충격을 받습니다. 엄마가 세상을 떠난 이후 줄곧 아버지와 단둘이 지내온 그녀에게, 새로운 사람이 가족이 된다는 것은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었습니다. 사실 활발하고 개성 강한 베이다지만 아직은 어리고, 여린 면 이 강한 소녀입니다. 토마스 제이는 내심 베이다의 진정한 모습을 알고 있었을지 모릅니다. 그래서 변함없이 베이다의 곁을 지켜 주며, 그녀가 기분이 나빠질 때마다 웃게 만들곤 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베이다와 토마스 제이는 숲 속에서 놀다가 벌집을 발견합니다. 호기심 많은 베이다는 토마스 제이에게 벌집을 건드려 보라고 장난스럽게 제안하고, 겁이 많던 토마스 제이는 결국 벌집을 건드려 벌들이 날아다니게 됩니다. 깜짝 놀란 두 사람은 급히 도망치고, 다행히 다치지는 않습니다.몇일 후, 토마스 제이는 숲속에서 잃어버린 베이다의 반지를 찾아주기 위해 홀로 벌집이 있던 장소를 다시 찾습니다. 그러나 그는 벌에 심하게 쏘이는 사고를 당하고,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사망하고 맙니다. 이 소식을 들은 베이다는 큰 충격을 받고 슬픔에 빠집니다. 친구와 영원히 헤어져야 하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며, 방에 틀어박힌 채 아무와도 이야기하지 않으려 합니다. 장례식 날, 베이다는 장례식장에 누워 있는 토마스를 보고는 그제야 현실을 깨닫고 오열합니다."그는 안경을 써야 해요! 안경이 없으면 앞을 못 보잖아요!"라며 울부짖습니다. 토마스 장례 이후, 베이다는 처음으로 영원히 만날 수 없는 이별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슬픔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똑바로 바라보며 배워 나갑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녀는 토마스가 곁에 없다는 현실을 점점 받아들이게 되고, 점차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려고 노력합니다. 또한, 아버지 해리는 베이다에게 좀 더 애정을 표현하려고 노력하며, 그녀가 감정을 숨기지 않고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셸리 역시 베이다의 마음을 이해하며 그녀에게 다가가고, 두 사람은 점차 가까워집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베이다는 다시 글쓰기 강좌에 참석하여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쓰기 시작합니다. 항상 자신 옆에서 묵묵히 지켜주었던 토마스와 자기 마음속에서는 함께라는 사실을 가슴에 새기며 새로운 친구를 사귀며, 조금 더 성장한 모습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입니다. 결국 셸리는 영원한 이별의 아픔을 이해하게 되었고, 막연했던 두려움을 극복하며 과거보다 조금 더 성장한 모습으로 영화는 막을 내립니다.
순수한 시절과 성장의 눈부신 기록
마이걸은 주인공 베이다 설텐퍼스가 한 여름 동안 겪은 사건을 통해 한 단계 성장하는 이야기입니다. 베이다는 엄마를 일찍 여의고, 장례식장을 운영하는 아버지 밑에서 자란 탓에 사람들과 헤어짐을 가까이에서 접하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정작 영원한 이별이 무엇인지 깊이 이해하지는 못한 채, 막연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 염려증이 심해 작은 증상에도 크게 걱정하는 모습은 그녀가 내면적으로 불안하고 외로움을 많이 느낀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영화 속에서 그녀는 친구 토마스 제이와의 관계, 아버지와의 갈등, 새로운 가족 구성원인 셸리와의 만남 등을 통해 점차 정서적으로 성장합니다. 특히, 토마스 제이와 이별은 그녀에게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처음에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방 안에 틀어박혀 지내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슬픔을 이겨내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성장의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아픔과 그 극복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베이다와 토마스 제이의 관계는 이 영화의 가장 중심적인 감정선입니다. 둘은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베이다는 장난기 많고 활발하며 독립적인 반면, 토마스 제이는 조용하고 수줍음이 많으며 몸이 약한 소년입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 주며 언제나 함께하는 친구입니다. 둘은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베이다는 장난기 많고 활발하며 독립적인 반면, 토마스 제이는 조용하고 수줍음이 많으며 몸이 약한 소년입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깊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순수한 아이들이 서로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하는데, 베이다가 토마스 제이에게 “나랑 결혼할래?"라고 묻고, 토마스 제이가 수줍게 대답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아직 결혼이라는 이벤트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어렴풋이 알 수 있는 어린 시절의 순수함을 표현하였으며, 그때 경험하는 첫사랑의 감정을 그대로 담아낸 장면은 보는 이로 하여금 때 묻지 않은 순수함을 느끼게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아름다운 관계는 토마스 제이의 갑작스러운 사고로 인해 슬프게 마무리됩니다. 이 사건을 통해 베이다는 단순한 이별이 아닌, 영원한 헤어짐의 거대한 개념을 처음으로 직접 경험하게 됩니다. 상실의 고통으로 인해 베이다는 깊은 슬픔에 빠지고 세상과 단절됩니다. 하지만 영화는 그녀가 이 상실을 점차 받아들이고, 일상을 되찾고 다시 삶을 살아가는 과정을 차분하게 그려냅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베이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가 친구를 사귀고, 글쓰기 수업에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쓰는 모습은 가까운 이와 영원한 이별을 경험한 후에도 나의 삶은 여전히 소중하며, 멈추지 말고 계속되어야 하며, 그 속에서 우리는 다시 행복을 찾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마이 걸>은 단순한 성장 영화가 아닙니다. 이 영화는 순수한 어린 시절의 아름다움과, 갑작스러운 상실, 그리고 그 상처를 치유하며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깊이 있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어린 시절의 순수한 감정을 그대로 담아내 감동적이며, 헤어짐 혹은 이별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아이의 시선에서 담백하게 풀어냈고, 사랑과 상실, 그리고 성장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 영화입니다.